기독교 장례식 예절 정보입니다.
기독교 장례식 예절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경사스러운 일은 미리 일정을 알수 있어 준비하게 되지만 조사의 경우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보니 불가피한 일정이 있어 조문하러가지 못하는 경우도 생기게 되는데 이럴 경우엔 따로 인사를 하는게 좋습니다.
특히 결혼식이나 돌잔치 같은 좋은일인 경우보다 장례식과 같은 조사의 경우 꼭 챙기라는 어르신들의 말씀이 있는데 이는 슬픈 감정을 위로했을 때 보다 효과적이고 힘이 되기 때문일 것이니 불가피하게 참석하지 못했다면 꼭 따로 인사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분들이 장례식장 방문전 장례식장 예절에 대해 신경을 씁니다. 평소 머리속에 담아두자니 자주 있는 일이 아니라 잊혀지기도 하고 행여 실수라도 할까봐 다시 한번 확인하고자 하는 거죠.
일반적인 장례식장 예절을 살펴보면 남성의 복장은 검정이나 곤색 같이 어두운 계열의 정장을 입고 넥타이 색상도 마찬가지로 검정색 계열의 넥타이를 착용하며 여성의 경우도 마찬가지지만 브라우스는 하얀색을 입는게 일반적입니다.
장례식장에 도착해서는 조객록에 서명한후 분향소 앞에서서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한 후 분향을 하는데 이때 오른손으로 향을 잡고 초를 이용해 향에 불을 붙인 후 가볍게 흔들어 불을 꺼줍니다.
그런다음 왼손으로 오른손을 받친채 향로에 꽂아두고 뒤로 물러서 절을 하게 되는데 이때 향을 입으로 불어 끄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분향후에는 영정을 향해 절을 두번하고나서 목례를 하게 되는데 절할 때 손의 위치는 남자의 경우 오른손이 위로가고 여성은 왼손이 위로가게해서 절을하며 영정을 향해 두번 반 절한 뒤 상주와 맞절을 1회 합니다.
여기까지가 일반적인 장례식 예절이라 할수 있는데 고인이나 상주가 기독교인일 경우 기독교 장으로 치러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금 다른 부분을 알고 계시는게 좋습니다.
기독교에서는 섬기거나 절하는 대상이 하나님에게만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절을 하지 않고 국화를 헌화한 후 왼손 엄지손가락을 위로 가게하여 묵념하거나 기도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상주에게도 마찬가지로 맞절이 아닌 목례를 하게 되죠.
하지만 기독교장인지 모르고 조문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렇다보니 영정을 향해 절을 하고 상주에게도 절을 하는 경우가 흔한데 기독교 장례식이라고 해서 상주가 조문온 문상객의 절을 받지 않거나 맞절을 하지 않는건 아직까지 한번도 못봤습니다.
슬픔을 위로하러 온 사람에게 기독교 장례식 예절을 강요하는 경우는 오히려 예의에 어긋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고 아무런 준비없이 방문하는 것보다 고인이 기독교인이라면 기독교 장례식 예절을 참고해서 준비하는 것도 조문객의 예의가 될것이니 미리 확인하고 준비하는게 바람직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