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바코드 생성기 정보입니다.
우리가 마트 상품에서 흔히 볼수 있는 바코드는 빠르게 상품을 식별하여 계산을 돕고 있는데 이러한 바코드 생성 방법으로는 일정 기준에 따라 만들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관리하고 있는 기관은 대한상공회의소 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 바코드로 유통시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국제표준 상품식별코드는 유통물류분야 비영리국제기구인 GS1(Global Standards No.1)에서 관리하고 있는데 전세계 112개국이 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대표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1988년에 가입하였습니다.
상단은 유통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바코드인 GTIN-13의 구성에 대한 설명인데 여기서 국가코드는 제품의 원산지를 뜻하는게 아니므로 중국에서 생산했다고 국가코드가 중국일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업체코드는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에서 관리 및 부여하는데 대한상공회의소 바코드 관리시스템을 통해 부여받아야 중복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6자리지만 의약품, 의료기기업체는 4자리 또는 5자리도 있습니다.
상품코드는 해당 업체의 상품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부여하면 되는데 상품코드가 1000개이상일 경우 700개 이상 등록되었을 때 대한상공회의소에 추가업체코드를 요청하신 후 발급 받으시면 해결되며 체크디지트는 검증을 위한 코드로 자동 계산되므로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이제 숫자부분의 바코드를 가지고 있다면 실제 바코드 생성기를 통해 막대로된 바코드 생성을 돕는 바코드 생성 사이트(barcode tec it)를 방문해서 만들기 해보겠습니다.
포털 검색창에서 barcode tec it 을 검색하시면 사이트가 안내되고 접속하면 메인 좌측에서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위와 같이 유통시장에서 통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GS1 바코드 생성기가 보이는데 이를 통해 임의로 바코드 만들기를 해보겠습니다.
바코드는 앞서 GTIN-13 구성에 대해 설명할때 보여지는 코드를 임의로 넣었습니다. 그런다음 Refresh 버튼을 클릭하면 우측과 같이 바코드가 생성되고 Download 버튼이 보이고 클릭하면 생성된 바코드 gif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는데 다운로드 설정을 바꾸려면 우측 상단의 보라색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바코드 파일의 이미지 형식을 jpg, png로 변경하거나 이미지 로테이션을 통해 상품에 맞게 변형할수도 있으니 필요에 따라 활용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바코드 생성기 사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 도움되셨나요?